Development/Python
[코딩테스트 대비] python 메서드 및 라이브러리 활용 정리
메서드 - 전체 출력 결과를 한줄에 출력하기 for i in n: print(ord(i)-64,end=' ') # 1 2 3 4 ...25 26 으로 출력 - 입력값이 서로 붙어있을 땐, input()/split()이 아닌, 그냥 input()만 써서 작성 #입력값 #12345 #67890 graph = [list(map(int,input())) for _ in range(2)] #print(graph) = [[1, 2, 3, 4, 5], [6, 7, 8, 9, 0]] - 절대값 출력 print(abs(-5)) #5 출력 라이브러리 내장함수 - eval() 함수 : 수학 수식이 문자열 형식으로 들어오면 수식의 계산 결과를 반환한다. result = eval((3+5)*7) print(result) #56..
![[Python] 문자열을 한 줄에 출력하는 방법(print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TQmvh%2Fbtr7msWewyQ%2Fthd9DSM0pEDhkVsH6k951K%2Fimg.png)
[Python] 문자열을 한 줄에 출력하는 방법(print)
안녕하세요. Harry입니다. 본 포스팅의 목적은, 코딩테스트를 준비함에 있어 스스로 공부한 지식을 정리하고자 합니다. https://velog.io/@h88x/SWEA-2050.-%EC%95%8C%ED%8C%8C%EB%B2%B3%EC%9D%84-%EC%88%AB%EC%9E%90%EB%A1%9C-%EB%B3%80%ED%99%98-%ED%8C%8C%EC%9D%B4%EC%8D%AC SWEA 2050. 알파벳을 숫자로 변환 파이썬 딕셔너리 사용하여 매치 velog.io 위 문제를 푸는 중, 정말 간단한 문제지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함수들이 많이 내포된 문제인 것 같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보통 백준에서 문제를 풀 때는 출력을 입력 요소 당 한개씩 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. 삼성 SWEA에서 풀 때는 조금..
[Python] 리스트 인덱스 중복하는 경우
안녕하세요. Harry입니다. 본 포스팅의 목적은, 코딩테스트를 준비함에 있어 스스로 공부한 지식을 정리하고자 합니다. 배경 : 2차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, 방법에 따라 리스트 내 각 요소의 인덱스가 중복되는 경우가 있어 활용 시 혼란스러운 상황 경험. 1. 리스트 인덱스가 중복하는 경우 duplication = [[0]] * 5 duplication[0].append(1) print(duplication) 위와 같이 duplication 이라는 2차원리스트를 생성한 후 인덱스가 0인 내부 리스트에 1을 더한 경우 아래와 같이 출력될 것이라 기대했습니다. [[0, 1], [0], [0], [0], [0]] 하지만 실제 출력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. [[0, 1], [0, 1], [0,..
[독학 파이썬] 파이썬 ord 메서드 활용법 정리(feat.chr)
안녕하세요. Harry 입니다. 오늘 배운 ord 메서드에 대해 정리하여 올립니다. [학습 목표] 1. ord 메서드란? - what? 2. ord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- why? 3. ord 메서드 사용방법 - how? [ord 메서드란?] ord(c) 메서드는 문자의 유니코드 숫자(정수) 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 chr 메서드와는 반대의 개념을 가진다. 'a' = 97, 'A' = 65 를 출력한다 [ord 메서드를 쓰는 이유] 코딩 테스트 시 구현 문제, 좌표 문제 내에서 행 또는 열이 숫자가 아니라 문자 인 경우, 문자끼리는 연산이 어렵기 때문에 좌표계산에 제약이 발생한다. 이런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문자를 숫자로 바꿔주는 작업이 필요한데, 이 때 ord 메서드를 활용하여 손쉽게 ..
![[Python] input함수 대신 sys.stdin.readline 활용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4m9j1%2FbtrYGtKTqdx%2FGlkxHKJQIoyuRx5bgrksKk%2Fimg.png)
[Python] input함수 대신 sys.stdin.readline 활용하기
안녕하세요. Harry입니다. 본 포스팅의 목적은, 코딩테스트를 준비함에 있어 스스로 공부한 지식을 정리하고자 합니다. 이번에 배운 내용은 사용자 입력함수로 input() 대신 sys.stdin.readline을 입력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. 1) 왜 input함수를 안쓰고 이걸 쓰냐? input()함수의 경우, 입력 받을 때 매우 느려 10만개 이상 입력받을 경우 시간 초과 문제가 발생합니다. input()은 -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은 후 - 받은 입력을 문자열로 전환하고 - strip (공백제거) 까지 진행하기 때문에 비교적 오래 걸리는 함수입니다. 2) sys.stdin.readline 은?? 개행 문자까지 포함하여(즉, 한줄 전체를) 출력하기 때문에 따로 strip 과정이 없습니다. ..
![[Python] input 함수 활용하여 원하는 만큼 리스트 내 원소 자동생성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eh262p%2FbtrUTYAtt9P%2FZTR1M2NZaoPduYDYNtgZB0%2Fimg.png)
[Python] input 함수 활용하여 원하는 만큼 리스트 내 원소 자동생성하기
안녕하세요. Harry입니다. 본 포스팅의 목적은, 코딩테스트를 준비함에 있어 스스로 공부한 지식을 정리하고자 합니다.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다보면, 반복문이 1번 돌때마다 나온 값을 한 리스트에 저장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런 경우, 보통은 루프 밖에 별도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append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만들기도 하는데요. 이번에는 좀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정리하고자 합니다. 사용자가 입력하는 숫자만큼 리스트 내 리스트 요소 만들기 사용자의 입력 수의 개수만큼 리스트 내 리스트로 만드는 방법입니다.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을 먼저 활용하면,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경하고, 스..
[독학 파이썬] 파이썬 자료형 종류별 내장 함수 정리(리스트)_12.12
안녕하세요. Harry 입니다. 오늘 공부한 내용인 파이썬 자료형 별 내장함수 중 리스트 내장 함수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올립니다. 예시 리스트는 모두 'a' 로 통일했습니다. [학습 목표] 1. 리스트 내장 함수 별 정의를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가 뭔지 알 수 있다) - what? 2. 리스트 내장 함수의 사용 목적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를 왜 쓰는지 알 수 있다) - why? 3. 리스트 내장 함수 별 사용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가 언제 쓰이는지 알 수 있다) - when? 4. 리스트 내장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 어떻게 작성하고 쓰는지 알 수 있다) - how? 4. 리스트 내장 함수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와 다른 함수의 차이점을 알 수 ..
[독학 파이썬] 파이썬 자료형 종류별 내장 함수 정리(문자열)_12.12
안녕하세요. Harry 입니다. 오늘 공부한 내용인 파이썬 자료형 별 내장함수 중 문자열 내장 함수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올립니다. 예시 변수는 모두 'a' 로 통일했습니다. [학습 목표] 1. 문자열 내장 함수 별 정의를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가 뭔지 알 수 있다) - what? 2. 문자열 내장 함수의 사용 목적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를 왜 쓰는지 알 수 있다) - why? 3. 문자열 내장 함수 별 사용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가 언제 쓰이는지 알 수 있다) - when? 4. 문자열 내장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 어떻게 작성하고 쓰는지 알 수 있다) - how? 5. 문자열 내장 함수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.(이 함수와 다른 함수의 차이점을 알 수 있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