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Harry 입니다.
오늘 배운 ord 메서드에 대해 정리하여 올립니다.
[학습 목표]
1. ord 메서드란? - what?
2. ord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- why?
3. ord 메서드 사용방법 - how?
[ord 메서드란?]
ord(c) 메서드는 문자의 유니코드 숫자(정수) 값을 리턴하는 함수이다.
chr 메서드와는 반대의 개념을 가진다.
'a' = 97, 'A' = 65 를 출력한다
[ord 메서드를 쓰는 이유]
코딩 테스트 시 구현 문제, 좌표 문제 내에서 행 또는 열이 숫자가 아니라 문자 인 경우, 문자끼리는 연산이 어렵기 때문에 좌표계산에 제약이 발생한다. 이런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문자를 숫자로 바꿔주는 작업이 필요한데, 이 때 ord 메서드를 활용하여 손쉽게 문자를 숫자로 바꿀 수 있다.
예를 들어, 열이 소문자 알파벳, 행이 숫자인 좌표 내에서 사용자에게 특정 좌표를 입력 받는다고 하면, 입력받은 좌표를 우리가 흔히 활용하는 좌표(숫자)로 변경해주는 것이다.
input : a1 -> (1,1)
sample = input()
column = int(ord(input_data[0])) - int(ord('a'))+1
[ord 사용방법]
>>> ord('a')
97
>>> ord('가')
44032
기본적으로 ord 메서드를 통해 출력된 값은 int(정수) 값이므로 정수형과 연산이 가능하다.
[chr 사용방법]
반대로, chr 메서드는 입력된 문자의 아스키코드 정수값을 출력해준다.
print(chr(65))
-> A 출력
감사합니다.
'Development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문자열을 한 줄에 출력하는 방법(print) (0) | 2023.04.01 |
---|---|
[Python] 리스트 인덱스 중복하는 경우 (0) | 2023.03.29 |
[Python] input함수 대신 sys.stdin.readline 활용하기 (0) | 2022.12.30 |
[Python] input 함수 활용하여 원하는 만큼 리스트 내 원소 자동생성하기 (0) | 2022.12.30 |
[독학 파이썬] 파이썬 자료형 종류별 내장 함수 정리(리스트)_12.12 (0) | 2022.1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