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Harry입니다.
현재 풀이중인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를 진행하면서 나름대로 파악했던 문제 출제 의도와 풀이를 작성했습니다.
모든 풀이는 직접 Pycharm을 통해 에러없이 출력됨을 확인 후 작성했습니다.
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는 Wikidocs에 무료로 배포된 전자책을 활용했습니다/
[학습목표]
1. 각 문제별 요구하는 역량(출제의도)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.
2. 각 문제별 요구하는 기술 및 기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271 ~ 280
271 Account 클래스
은행에 가서 계좌를 개설하면 은행이름, 예금주, 계좌번호, 잔액이 설정됩니다. Account 클래스를 생성한 후 생성자를 구현해보세요. 생성자에서는 예금주와 초기 잔액만 입력 받습니다. 은행이름은 SC은행으로 계좌번호는 3자리-2자리-6자리 형태로 랜덤하게 생성됩니다.
-요구역량 : random 모듈 및 random 메서드를 활용하여 class의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가?
저는 아래 4가지를 몰랐습니다.
- 함수의 매개변수에 없어도 self.bank = 'SC은행' 이라 고정할 수 있다.
- random 모듈의 random() 함수를 호출.random() 함수는 0 이상 1 미만의 숫자 중에서 랜덤으로 하나 뽑아서 출력합니다.
- random.randint(a,b) = a부터 b 사이에 균일한 정수 난수를 발생시키는 메서드입니다.
- 문자열.zfill(num) = (문자열 개수 + 문자열 앞에 붙일 0의 개수) = num가 되는 메서드입니다.
중요한 건 num = 출력할 문자열의 개수입니다.
ex) "50".zfill(3) = "050" , "50".zfill(2) = "50" (이미 문자열 개수 2가 충족됐으므로 0 추가 없이 그대로 출력)
은행이름: SC은행
계좌번호: 111-11-111111
정답확인import random
class Account:
def __init__(self,name,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'SC은행'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kim = Account("김민수", 100)
print(kim.name)
print(kim.balance)
print(kim.bank)
print(kim.account_number)
272 클래스 변수
클래스 변수를 사용해서 Account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계좌 객체의 개수를 저장하세요.
- 요구역량 : 클래스 내에서 함수가 몇번 실행됐는지 개수를 측정할 수 있는가?
정답확인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 1
kim = Account("김민수", 100)
print(Account.account_count)
lee = Account("이민수", 100)
print(Account.account_count)
273 클래스 변수 출력
Account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계좌의 개수를 출력하는 get_account_num() 메서드를 추가하세요.
- 요구역량 : 같은 클래스 내 타 함수가 실행된 횟수를 출력하는 함수를 정의할 수 있는가?
- def 함수(cls) : 괄호 안에 self 대신 cls가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.
instance의 매소드를 사용하려면 self 키워드를 사용하고, class 매소드를 사용하려면 cls 키워드를 사용해야합니다.
또한 cls 키워드를 활용하려면 앞에 @classmethod를 명시해줘야 합니다.
정답확인
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# 3-2-6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1
@classmethod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 # Account.account_count
kim = Account("김민수", 100)
lee = Account("이민수", 100)
kim.get_account_num()
274 입금 메서드
Account 클래스에 입금을 위한 deposit 메서드를 추가하세요. 입금은 최소 1원 이상만 가능합니다.
- 요구역량 : 클래스 내 a += b를 활용하여 메서드를 활용할 수 있는가?
보통의 함수 내 명령을 정의할 때는 a+=b로 작성하나, 클래스 내 메서드의 기능을 정의할 때는 self.a += b로 작성해야한다?
정답확인
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# 3-2-6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1
@classmethod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 # Account.account_count
def deposit(self, amount):
if amount >= 1:
self.balance += amount
275 출금 메서드
Account 클래스에 출금을 위한 withdraw 메서드를 추가하세요. 출금은 계좌의 잔고 이상으로 출금할 수는 없습니다.
- 요구역량 : 클래스 내 a += b를 활용하여 메서드를 활용할 수 있는가?
정답확인
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 1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
def deposit(self,amount):
if amount > 1:
self.balance += amount
def withdraw(self,withdrawal):
if self.balance > withdrawal :
self.balance -= withdrawal
276 정보 출력 메서드
Account 인스턴스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display_info() 메서드를 추가하세요. 잔고는 세자리마다 쉼표를 출력하세요.
- 요구역량 : 클래스 내 메서드를 정의하여 타 메서드에서 출력하는 결과값을 한번에 출력하는 메서드를 생성할 수 있는가?
은행이름: SC은행
예금주: 파이썬
계좌번호: 111-11-111111
잔고: 10,000원
정답확인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 1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
def deposit(self,amount):
if amount > 1:
self.balance += amount
def withdraw(self,withdrawal):
if self.balance > withdrawal :
self.balance -= withdrawal
def display_info(self):
print("은행이름: ", self.bank)
print("예금주: ", self.name)
print("계좌번호: ", self.account_number)
print("잔고: ", f"{self.balance:,}")
277 이자 지급하기
입금 횟수가 5회가 될 때 잔고를 기준으로 1%의 이자가 잔고에 추가되도록 코드를 변경해보세요.
- 요구역량 : 특정 메서드를 변경하여 추가 기능을 삽입할 수 있는가?
정답확인
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 1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
def deposit(self,amount):
if amount > 1:
self.balance += amount
self.deposit_count +=1
if self.deposit_count%5 == 0:
self.balance = self.balance*1.01
def withdraw(self,withdrawal):
if self.balance > withdrawal :
self.balance -= withdrawal
def display_info(self):
print("은행이름: ", self.bank)
print("예금주: ", self.name)
print("계좌번호: ", self.account_number)
print("잔고: ", f"{self.balance:,}")
278 여러 객체 생성
Account 클래스로부터 3개 이상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스턴스를 리스트에 저장해보세요.
- 인스턴스의 생성 결과를 리스트로 묶을 수 있는가?
정답확인
data = []
k = Account("KIM", 10000000)
l = Account("LEE", 10000)
p = Account("PARK", 10000)
data.append(k)
data.append(l)
data.append(p)
print(data)
279 객체 순회
반복문을 통해 리스트에 있는 객체를 순회하면서 잔고가 100만원 이상인 고객의 정보만 출력하세요.
- 요구역량 : 클래스 실행 결과를 조건에 따라 일부만 출력할 수 있는가?
정답확인
data = []
k = Account("KIM", 10000000)
l = Account("LEE", 10000)
p = Account("PARK", 10000)
data.append(k)
data.append(l)
data.append(p)
for i in data:
if i.balance >= 1000000:
i.display_info()
280 입출금 내역
입금과 출금 내역이 기록되도록 코드를 업데이트 하세요. 입금 내역과 출금 내역을 출력하는 deposit_history와 withdraw_history 메서드를 추가하세요.
- 요구역량 : 특정 기능을 클래스 내 메서드로 추가할 수 있는가?
정답확인import random
class Account:
# class variable
account_count = 0
def __init__(self, name, balance):
self.name = name
self.balance = balance
self.bank = "SC은행"
num1 = random.randint(0, 999)
num2 = random.randint(0, 99)
num3 = random.randint(0, 999999)
num1 = str(num1).zfill(3) # 1 -> '1' -> '001'
num2 = str(num2).zfill(2) # 1 -> '1' -> '01'
num3 = str(num3).zfill(6) # 1 -> '1' -> '0000001'
self.account_number = num1 + '-' + num2 + '-' + num3 # 001-01-000001
Account.account_count += 1
def get_account_num(cls):
print(cls.account_count)
def deposit(self,amount):
if amount > 1:
self.balance += amount
self.deposit_count +=1
if self.deposit_count%5 == 0:
self.balance = self.balance*1.01
def withdraw(self,withdrawal):
if self.balance > withdrawal :
self.balance -= withdrawal
def display_info(self):
print("은행이름: ", self.bank)
print("예금주: ", self.name)
print("계좌번호: ", self.account_number)
print("잔고: ", f"{self.balance:,}")
def withdraw_history(self):
for amount in self.withdraw_log:
print(amount)
def deposit_history(self):
for amount in self.deposit_log:
print(amount)
클래스는 여전히 헷갈리는게 많네요..
감사합니다.
'Coding Test >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독학 파이썬]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(281~290)_12.23 (0) | 2022.12.23 |
---|---|
[독학 파이썬]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(261~270)_12.22 (0) | 2022.12.22 |
[독학 파이썬]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(251~260)_12.22 (0) | 2022.12.22 |
[독학 파이썬]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(241~250)_12.22 (0) | 2022.12.22 |
[독학 파이썬]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풀이(231~240)_12.21 (0) | 2022.12.21 |